-
식지 않는 하이브리드의 인기, 어떻게 발전해왔나
최근 자동차 산업의 가장 큰 흐름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성장세가 아닐까 싶습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가 발표한 지난해 국내 신규 등록 자동차는 총 174만9279대, 이 중 하이브리드가 39만898대로 22.3%를 차지했습니다. 전년과 비교해 무려 42.5%나 늘어난 수치입니다. 올해도 마찬가지입니다. 1분기 국내에서 팔린 국산 친환경차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7% 늘어난 10만1700여 대인데요. 이 중 하이브리드가 85%가량을 차지했습니다. 하이브리드가 자동차 시장의 대세가 된 이유 중 하나는 급속도로 성장하던 전기차 시장이 주춤했기 때문입니다. 전기차는 충전 등 실사용 측면에서 아직 불편함을 느끼는 사용자가 많습니다. 반면 하이브리드는 내연기관의 편의성에 전기차의 친환경성을 갖추..
2024.05.23
-
하이브리드 자동차 관리 방법은?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우수한 연비 효율은 물론 친환경 차량 특성상 취득세, 세금 감면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어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내연기관 차량과 달리 전기 모터를 함께 사용하는 만큼, 특성도 다르고 관리 방법에 있어 차이점이 있는데요. 하이브리드 차량의 특성과 관리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Q. 하이브리드용 엔진오일이 따로 있나요? 하이브리드 차량은 저속에서 모터를, 고속에서 내연기관을 동력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엔진 열 상승이 일반 차량보다 더딜 수밖에 없습니다. 엔진 내부 열이 충분히 오르지 않은 저속 및 저온 구간에서도 엔진 내부에 강력한 보호막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엔진을 보호할 수 있는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에 최적화된 저점도 엔진오일은 엔진 보호 및 차..
2024.02.27
-
진짜로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가 꺾였을까? – 2024년 전기차 트렌드 예측
전기차 시장 성장세가 주춤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실제로 작년 국내 전기차 판매량은 15만9693대로 2022년(16만1449대)보다 1.1%(1756대) 감소했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수소 연료전지차 등을 모두 포함한 친환경 자동차의 판매량은 55만8112대로 전년의 44만8934에 비하여 10만대 이상, 약 24.4%가 성장하였다. 세계 시장도 마찬가지다. 순수전기차와 PHEV를 합한 플러그인 자동차의 통계를 보면 2022년에는 60%를 넘는 초고도 성장세를 보였지만 작년에는 전년 대비 31%를 성장하는 데에 ‘그쳤다’. 30%가 저성장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그렇다는 말이다. 또한 시장의 규모가 커질 수록 판매량이 같은 숫자로 성장한다면 성장률은 낮아진 것처럼 보인다..
2024.02.23
-
2023년 12월 주목해야 할 이슈는?
2023년은 우리나라의 자동차가 새로운 역사를 쓴 해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11월까지의 자동차 수출액이 644억달러를 넘어서며 월간 수출 사상 최대 기록을 새롭게 달성했습니다. 업계에서는 역대 최초로 수출 700억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자동차 수출 외에도 기술 개발, 정책 변화 등 여러 다양한 모빌리티 관련 소식과 새로운 기록 등을 살펴보겠습니다. 1.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 1,000만 대 돌파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의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10월 사이 전 세계 80개국에서 새로 등록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와 순수 전기차(BEV)가 총 1,099만 5,000대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지난해 동기간 대비 36.4% 증가한 수치입니다. 주요 그..
2023.12.18
-
요즘 하이브리드가 대세일 수밖에 없는 이유
하이브리드 차량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불과 10년전까지만 해도 현대자동차그룹의 하이브리드 차량은 4~5종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11종에 이를 정도인데요. 이처럼 하이브리드 차량이 다양해지고 대중화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하이브리드의 인기 요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방법도 가지각색, 하이브리드의 종류 자동차에서 하이브리드는 엔진과 전기모터가 동시에 갖춰진 차량을 의미합니다. 통상 전기모터의 출력은 엔진의 출력보다 낮으며, 엔진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여기서 충전 방식이나 구조에 따라 하이브리드의 시스템이 세분화됩니다. 먼저 FHEV, 풀 하이브리드가 있습니다. 이는 전기 모터가 주행 중 상시로 개입해 연비를 끌어올려줍니다. 배터리는 별도의 플러그 없이 회생제동 혹은 엔진의 동력으로 충전되기..
2023.10.13
-
만약 우리 회사가 자동차를 만든다면? - 2부 섀시 구성
안녕하세요, 현대트랜시스에서 협력사와의 동반성장을 위해 상생협력팀에서 근무하고 있는 이정우 책임매니저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협력사와 다양한 프로젝트 업무를 진행하면서 만약 우리 회사가 자동차를 만들면 어떨지 가상의 스토리를 만들어보았는데요. 제 상상력을 바탕으로 자동차의 사이즈인 세그먼트를 정하고, 어떤 파워트레인을 접목할지에 대해 고민해 보았습니다. 오늘은 차체를 제외하고 주행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자동차의 섀시 구성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 글은 개인적인 생각을 적은 픽션이며, 대학교 시절 자작자동차 동아리 활동을 하며 총 6대의 자동차를 만들어본 경험과 협력사 평가 업무를 하며 얻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만약 우리 회사가 자동차를 만든다면?” 이라는 주제로 픽션을 써 보게 되었습니..
2023.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