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트랜시스, 자동차 기능안전 국제표준 인증 획득
■ 현대트랜시스 파워트레인 제품 개발 프로세스, ‘ISO 26262 FSM’ 인증 ■ 국제 표준 인증 통해 현대트랜시스 파워트레인 제품 기능 안전성 입증 미래 모빌리티 선도기업 현대트랜시스가 자동차 기능안전 국제 표준 ‘ISO 26262 기능안전관리(FSM)’ 인증을 획득하며, 파워트레인 제품의 기능 안전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현대트랜시스는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전동화연구개발센터에서 글로벌 시험 인증기관 ‘티유브이 라인란드(TÜV Rheinland)’로부터 ISO 26262 FSM 인증을 받았다고 18일 밝혔다. ISO 26262는 자동차 부품 고장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위해 국제표준화기구(ISO)가 2011년 제정한 자동차 기능안전 국제표준이다. 자동차 시장의 빠른 전동화 전환으로 전기·전..
2025.02.18
-
자동차 안전의 기준을 높이다, 현대트랜시스의 시트 기술
상상 속 모빌리티 기술이 눈앞에 실현되는 이 시대에도, '안전'은 여전히 가장 중요한 기준입니다. 이동하는 모두에게 안전은 어떤 첨단 기술보다 우선하는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기업에게도 안전은 가장 신경 써야 할 혁신의 목표이기도 합니다. 안전이라는 가치를 기술과 혁신으로 구체화한 현대차그룹의 경쟁력은 글로벌 무대에서 인정받고 있습니다. IIHS 탑세이프티픽, 안전 평가로 입증하다지난 2024년 현대차그룹은 글로벌 시장에서 뛰어난 안전성을 인정받았습니다. 미국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IIHS)의 충돌 안전 평가에서 총 22개 차종이 'Top Safety Pick(TSP)' 또는 'Top Safety Pick+(TSP+)' 등급에 선정된 것입니다. 이는 글로벌 자동차 그룹 기준 최다 기록으로, 현대차 9..
2025.02.13
-
2월 현대트랜시스가 전하는 모빌리티 이슈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끊임없이 변곡점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2기 정부 출범과 함께 관세 전쟁이 본격화되면서 자동차시장에도 큰 변화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또한 AI 및 자율주행 기술, 각국의 정책 변화가 업계의 판도를 바꾸고 있습니다. 2월 모빌리티 이슈에서는 현대차그룹의 기록적인 성과와 글로벌 완성차 시장의 변화, 지난 CES 2025에서 공개된 첨단 모빌리티 기술들의 현황을 살펴보겠습니다. 1. 현대차-기아,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 성과…현대차그룹 대규모 투자 계획 발표현대차-기아가 경기 침체 및 전기차 수요 둔화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282조 6800억 원이라는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현대차 175조 2312억 원, 기아 107조 4488억 원으로 양사 모두 2023년 대비 7.7%..
2025.02.11
-
현대트랜시스, 농어촌 ESG 실천 우수기업 선정
■ 현대트랜시스 지역사회 밀착형 사회공헌 활동으로 사회적 책임 실천 ■ 생산시설 위치한 서산 등 충청남도 농어촌과 상생을 위한 노력 지속 현대트랜시스가 지역사회 상생협력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미래 모빌리티 선도기업 현대트랜시스는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이 공동 주관하는 ‘농어촌 ESG 실천인정제’ 인정 기업으로 2년 연속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농어촌 ESG 실천인정제는 농어업·농어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업과 기관의 상생협력 노력과 ESG 실천 활동을 평가하고 인정하는 제도다. 현대트랜시스는 생산시설이 위치한 충남지역 농어촌의 환경개선 및 상생활동에 앞장선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환경 측면에서는 2023년 충남 태안군에 나무 1천 730그루를 심어 ‘탄소..
2025.02.04
-
2025년 화두는 AI 혁신... AI기술 접목해 디지털전환(DX)하는 현대트랜시스
올해도 신년의 개막을 장식한 CES2025, 주인공은 역시 AI였습니다. 매년 글로벌 선두 기업들의 혁신 기술이 등장하는 무대인 만큼,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들도 대거 참여했는데요. 이번 행사에서 현대차그룹은 엔비디아와 모빌리티 혁신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는 소식을 전했습니다. 엔비디아의 AI 기술을 활용해 소프트웨어 중심차량(SDV)개발을 강화하고, 스마트 팩토리와 로봇 기술 등에서 전방위적으로 협력하겠다는 것입니다. 기대되는 협업 소식과 더불어, CES 현장에는 그룹 계열사인 현대모비스와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 제로원도 함께 자리를 빛냈습니다. 이 밖에도 모빌리티 기술 분야에서 다양한 혁신이 등장하며 눈길을 끌었는데요. 도요타는 AI 시스템으로 관리하는 도시이자, 모빌리티와 스마트홈을 결합..
2025.01.16
-
1월 현대트랜시스가 전하는 모빌리티 이슈
새해에도 자동차 산업은 급격한 변화 속에 있습니다.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자율주행 기술, 글로벌 시장 재편 등 업계를 재구성하는 다양한 소식들이 들려오는 가운데, 2025년 첫 모빌리티 이슈에서는 현대차그룹을 포함한 글로벌 자동차 업계의 전략과 변화, 그리고 이를 둘러싼 경쟁과 도전을 살펴봅니다. 현대차·기아, 지난해 2년 연속 판매기록 경신…글로벌 전략 강화현대차와 기아가 지난해 미국에서 한 자릿수 판매 성장률을 기록하며 2년 연속으로 역대 최고 실적을 경신했습니다. 하이브리드차량(HEV)과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을 앞세운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 사상 처음 170만대 판매를 돌파했습니다. 현대차 미국판매법인에 따르면 현대차의 2024년 미국 신차 판매량은 총 83만6802대를 기록해..
2025.01.10